도·태평양 지역에서 한미동맹 역할·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과 미국의 외교 수장이 만나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한미동맹 역할·기능 재조정을 핵심으로 하는 '한미동맹현대화'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조현 외교부 장관은 미국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직후, 우리 고위당국자가 주한미군의 역할과 성격이 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주한미군을 중국 견제에 활용한다는 이른바 동맹현대화가 앞으로 한미 양국의 주요 의제가 될 걸로 보입니다.
[리포트] 이재명 정부 출범 뒤 첫 한미 외교.
국방부 제공 한국과 미국 국방부 장관이 이재명 정부 출범 뒤 이뤄진 첫 대화에서 '한미동맹현대화'를 위한 협의를 약속했다.
한국 정부는 중국을 견제한다는 군사적 의미를 함의하고 있는 탓에 '동맹현대화'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
[앵커]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한미외교장관회담에서 한미동맹현대화를 둘러싼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정부 고위관계자도 주한미군의 역할이나 성격이 변화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정상회담을 앞둔 한미관계에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의 외교·국방 장관이 미국 카운터파트(상대자)와 가진 첫 대화에서 공통되게 거론된 건 '동맹의현대화'다.
주한미군의 역할을 북한 억제를 넘어 동북아를 아우를 수 있도록 확장 전환하고자 하는 미국의 요구가 관세 협상 다음의 숙제.
후 “두 장관은 변화하는 역내 안보 및 경제 환경 속에서 동맹을 더욱 강화하고 전략적 중요성도 한층 높이는 방향으로 동맹을현대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워싱턴=AP 뉴시스 한국과 미국이 관세 협상을 타결하면서 주한미군 재조정 등.
이번 회담에선 관세 협상에 담기지 않은 안보 분야 협력이 의제로 포함될 전망입니다.
이 대변인 역시 "외교 당국자 간 동맹현대화를 위한 논의를 긴밀히 진행하고 있었고, 이번 외교장관회담 계기에도 관련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취재진과 만나 한미 '동맹현대화.
첫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양국 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역내 정세·안보 변화에 맞춰 물밑에서 조율해오던 한미 간 '동맹현대화'를 수면 위로 올려 본격적인 협상을 개시하기로 합의한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
동맹현대화의견 일치, 한미 정상회담 촉각北 비핵화 목표 확인…소통·공조 이어가기로 조현 외교부 장관(왼쪽)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첫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한미동맹현대화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