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대중평화센터
  • 평화센터 소식
  • 평화센터 소식

    평화센터 소식

    04e17674a8ca78cd7f5389e96fdcb4c3_1641525254_492.png
     

    김대중 대통령 서거 16주기 추모식- 개회사(김성재 상임이사)

    본문

                                                                             


                                                                            김대중 대통령 16주기 추모식 개회사

     


    오늘 우리는, 우리가 존경하고 사랑하는 김대중 대통령의 서거 16주기를 맞아 그 분을 추모하고 그분의 철학과 업적을 계승 발전시키려는 마음을 가지고 이 자리에 참석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평생 국민의 행복과 민주주의, 인권, 평화를 위해 다섯 번의 죽을 고비를 겪고 6년간 감옥생활을 하셨고,  40여 년 간 망명, 연금, 감시당하는 탄압의 고통을 겪었지만 국민과 역사를 믿고 단 한 번도 좌절하거나 불의한 세력과 타협하지 않고 행동하는 양심으로 사셨습니다. 특히 김대중 대통령은 일체 정치보복을 하지 않고 모든 정적들을 용서하고 화해하고 이로써 국민통합을 이루었습니다.

     

    2000년 노르웨이 노벨평화상위원회는 김대중 대통령의 이러한 숭고한 업적을 높이 평가해서 노벨평화상을 수여했습니다.

     

    2009년 김대중 대통령께서 서거하셨을 때 뉴스위크지는 특집을 발간하면서 김대중 대통령을 나라를 변화시킨 11인의 트랜스포머로 선정하면서 세 가지 업적을 소개했습니다. 평화적 정권교체로 민주주의 이룩했고, 아시아 외환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했고, 햇볕정책으로 남북화해를 이룩했다는 것입니다. 또한 뉴스위크지는 김대중 대통령을 인류에게 영원히 기억될 명사 36명의 한사람으로 선정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자신의 일생을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내 일생이 고난에 찬 일생이었다고 생각하지만 결코 불행한 일생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내 일생이 참으로 값있는 일생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내가 무엇을 많이 성취했기 때문이 아니라 바르게 살려고, 국민을 위해 충성을 다하려고 우리 국민 뿐 아니라 세계의 모든 고통 받는 사람들, 세계의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 세계의 모든 자유와 정의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충실하게 살려고 노력해온 일생이었다고 스스로 믿기 때문이다. 나는 어떠한 대통령이나 어떠한 재벌과도 나의 일생을 바꿀 생각이 없고 열 번 다시 태어나서 이 일생을 되풀이 한다 해도 기꺼이 되풀이 할 용의가 있다.”

     

    추모예식이 끝나고 묘소에 헌화하러 가시면 묘비에 새겨진 이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금년 2025년 세계정치학회는 서울 대회를 계기로 김대중 대통령의 민주주의, 평화, 인권의 철학과 업적, 특별히 30권의 저작 전집을 통한 그분의 학문적 공헌을 높이 평가해서 김대중 상을 제정하고, 2년 총회 때 마다 평화, 민주주의, 인권을 위해 학문적으로 탁월한 공로를 세운 학자에게 수여하기로 했습니다. 7월 코엑스에서 개최된 서울 총회에는 세계 70여 개국 3800여 명의 학자들이 참석해서 김대중 대통령의 이런 철학과 정치적, 학문적 업적을 기렸습니다.

    초대 수상자인 캐나다 맥길 대 T.V 존 교수는 수상 소감을 이렇게 말했습니다.  

    영광스럽다. 김 전 대통령은 한국의 위대한 정치인이자 세계 시민이었다.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으로 입증된 그의 업적은 한 국가·지역을 넘어서는 울림을 갖고 있다. 군부독재에 맞선 그의 투쟁과 민주화 과정의 리더십은 오늘날 전 세계 곳곳에서 포퓰리스트 인기 영합적 지도자에게 억눌린 진보 세력에게 큰 영감을 주고 있다. 햇볕정책을 통해 남북 대화와 화해를 이끌었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촉진해 평화의 진전도 이뤄냈다. 국내·외에서 평화적 변화를 추구한 김 전 대통령에 대해 학문적으로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그리고 최근 한국에서 벌어진 윤 전대통령의 계엄 선포와 탄핵, 조기 대선을 통한 정권교체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한국 국민들의 영웅적 투쟁은 전 세계 민주 진영에 큰 희망을 주는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런 시민운동은 앞으로도 독재를 꿈꾸는 자들이 권위주의로 나아가려는 시도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김대중 대통령은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인류와 역사에서 민주주의, 평화, 인권의 철학과 업적을 통해 인류를 살리는 생명력으로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경건한 마음으로 추모예식을 거행하도록 하겠습니다.  

     

     

     

       

     

     
    Total 133건 1 페이지
    • RSS
    평화센터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공지
    평화센터
    조회 Hit 303           
    평화센터 303
    공지
    평화센터
    조회 Hit 302           
    평화센터 302
    공지
    평화센터
    조회 Hit 427           
    평화센터 427
    공지
    평화센터
    조회 Hit 587           
    평화센터 587
    공지
    평화센터
    조회 Hit 375           
    평화센터 375
    공지
    평화센터
    조회 Hit 478           
    평화센터 478
    127
    평화센터
    조회 Hit 62           
    평화센터 62
    126
    평화센터
    조회 Hit 58           
    평화센터 58
    열람중
    평화센터
    조회 Hit 56           
    평화센터 56
    124
    평화센터
    조회 Hit 319           
    평화센터 319
    123
    평화센터
    조회 Hit 324           
    평화센터 324
    122
    평화센터
    조회 Hit 1203           
    평화센터 1203
    121
    평화센터
    조회 Hit 1044           
    평화센터 1044
    120
    평화센터
    조회 Hit 940           
    평화센터 940
    119
    평화센터
    조회 Hit 1076           
    평화센터 1076

    SEARCH